한일 교류전 : 고체 - 액체 임계점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한일 교류전 : 고체 - 액체 임계점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Solid-Liquid Critical Point Has Not Yet Been Found
2018. 8. 10 Fri ~ 2018. 8. 26 Sun
Performance 2018. 8. 10 Fri 7pm (카나자와 켄이치, 나카메 히로부미)
스페이스 윌링앤딜링에서는 2018년 8월 10일부터 26일까지 <고체-액체의 임계점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를 진행한다. 이 전시는 오사카에 위치한 전시기관 CAS(Contemporary Art and Spirits)와 서울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스페이스 윌링앤딜링이 공동으로 기획한 한-일 교류 프로그램으로서의 전시의 일환으로서 만들어졌다. 2017년 일본 오사카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비영리 공간 CAS(Contemporary Art and Spirits)에서 주최한 오사카 CASO에서 벌어진 한일 교류전시 <Spirit from Object>를 시작으로, 올해에는 한국에서 전시한다. 이번 전시는 단순히 일본 작가들이 한국에서 그들의 작품을 보여주는 기회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좀 더 구체적이고 긴밀한 방식의 ‘교류’가 이뤄질 수 있도록 했다. 따라서 이번 전시는 일본 작가 7인이 먼저 각자의 작업계획을 제시하고, 이후 한국작가 7인이 반응하는 형태로 구성됐다.
전시 제목 <고체-액체의 임계점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에서 ‘임계점(critical point)’이란 물질의 두 가지 상, 예컨대 기상(gas)과 액상(liquid)이 공존해 있을 때, 온도나 압력을 바꾸면 두 가지 상이 서로 접근해 일치하는 지점을 말한다. 이번 전시도 마찬가지로 대상이 외부의 힘으로 고유의 성질이 변형되기 시작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한국과 일본이라는 다른 물리적 환경에서 작업하고 있는 작가들은 함께 전시를 만들어나가며 서로 영향을 끼치게 된다. 이 전시에서 참여작가는 아직 발견되지 않은 ‘임계점’을 찾아, 서로 다른 성질의 것이 또 다른 것으로 만들어지는 데 필요한 환경 또는 방법을 찾으려는 시도를 드러낸다.
スペ?ス ウィリングアンドディリングで2018年8月10日から26日まで開催する展?? <固?-液?の臨界点はまだ?見されてない>は、2017年に大阪の非?利組織CASとの 共同企?として大阪で開催されたものを??し、ソウルで開催する韓日交流展である。今回、 スペ?ス ウィリングアンドディリングでは日本の作家7名が提示する各作家の作品に?して 、韓?の作家7名がそれらから受け取るイメ?ジと作品の有?からインスピレ?ションを得また 反?し、展示を完成させるという方法を取る。
本展では、展??が成立する?の時間的な順序を、それを守りながら付加する、同時的に? わる、あるいは交差的なアプロ?チを取るなどの方法を試みる。これらの多?な方法を取るこ とは、韓?と日本の作家との臨界点を探す努力と絡み合うことになるだろう。最初にプレゼン テ?ションされる日本作家の作品では、各?固有の作品形式を提示される。その提示のプロセ スから作品が成立する臨海点を指定したり考察を行う。韓?作家は日本作家の作品と共鳴で きる臨海点を探ることで、日本側との交流を?ることになる。 展示の題名<固?-液?の臨界点はまだ?見されてない>が象?するように、お互い異なる性 質のものが、異なる環境、方法等を探す行?を?て結?する?況を?ることができるだろう。
Space Willing N Dealing is honored to present <Solid-Liquid Critical Point Has Not Yet Been Found> which will be held from 10th to 26th of August 2018. This exhibition is organized in collaboration with CAS, an exhibition organization in Osaka. It was initiated in 2017 in order to strengthen internation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Japan artists. This year, exhibition will be held in Korea, in Space Willing N Dealing. In the exhibition, Korean artists will be responding to each of the works presented by seven Japanese artists.
As you can see in the exhibition title <Solid-Liquid Critical Point Has Not Yet Been Found>, one can expect to see the necessary environment and methodology to make different properties of one another. Various ways to follow the temporal order, or to be simultaneous or crossing, are also linked to efforts to find critical point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artists. Japanese artists would present a unique work format first, and they also designate critical points in their own work. In order for Korean artists to find critical points to resonate with their works and to communicate with them.
FUNADA KAYO 후나다 카요
어머니와 나. 나와 딸. 이 관계에는 특별한 집착이 있다. 사용하고 있던 “물건”을 계기로 생겨나는 분위기나 감촉, 기억이 있지만, 지나가는 나날들과 빠른 성장 속도에 섞여서 빠져나가 어딘가로 떨어져서 잊힌다. 이러한 불안감은 자신의 어린 시절의 어머니에게 가졌던 감각과 연결되었다. 어머니라는 단편, 존재의 증거라고 할 수도 없는 작은 느낌을 느끼는 것(읽은 책이나 오래 입어서 버려지는 털 카디건, 사용한 티슈조차도)과 헤어질 수 없던 감정 등 형태가 없이 담아두지 못했던 것으로의 작은 저항과 잃어버리기 위한 준비를 하는 것 같다.
KANAZAWA Kenichi 카나자와 켄이치
「공진역 Morton Feldman의 음악에 관하여」라는 제목으로 「소리=진동」이라는 측면에서 철이라는 소재와 음악을 다룬다. 제작된 음악은 보이지 않는 조각, 또는 조각의 그림자와 같은 존재로서도 볼 수 있을지도 모른다.
HIRAMATSU Nobuyuki히라마츠 노부유키
그림을 그리려고 한다. 그림을 그리는 사람이 되려고 한다. 그림을 그린다.
NAKAMAE Hirofumi 나카메 히로부미
구석기시대 말에서부터 있었던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술인 벌꿀과 물만으로 만드는 미드, (양조주)를 만든다. 또한, 발효를 촉진하기 위해서 효모균을 첨가한다. 재료(벌꿀, 물, 효모균)는 모두 현지의 것을 조달하여 발효시킨다. 이번에는 발효하는 과정에서 보글보글 솟아오르는 소리를 다룬다. 대사라는 것은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서 유기체가 만들고 성장과 생식을 촉진하고 그 시스템을 유지하고 있다. 발효하는 소리는 인간의 호흡 소리와 닮았다. 생명 활동의 노래이다.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미니멀하고 힘센 율동은 우리의 신체와 공진하여 불가사의한 흔들림을 연주한다. 이 노래는 규칙성이 있으면서 그 패턴이 일정하지 않고 시간과 함께 지체하고 진정한다. 그것은 마치 죽음으로 향하는 것이다.
SASAOKA Takashi 사사오카 타카시
두 개의 영상은 약간의 시차를 만들었다. 이들은 미뤄진 시간 안에서 싱크로화하고, 마치 하나의 영상으로 보인다. 우리 안에서 완전하게 굳어진 「시간」이라는 개념이 경험으로 해체되고 그 해체가 어떤 임계점으로서 느껴질 수 있는 설치가 된다.
KAWANAKA Masahiro 카와나가 마시히로
해외로 작품을 가져갈 때, 비행기에 작품을 지참할 수 있을지 없을지 생각이 스친다. 이번의 테마인 ‘임계점’. 그것은 온도나 압력을 가해도 서로 서로의 구별이 되지 않은 종점이고, 거기에 그 임계점을 넘어 온도와 압력을 올리면, 그것은 물질의 고체-기체-액체의 어느 것도 아닌 「무언가」(초 임계상태)가 된다고 한다. 나는 물감을 보고, 예술은 임계점을 초월한 무엇도 아닌 「무언가」라고 납득한다. 내가 이 나라에 가져가는 물감은 무엇이 되는가.
OHNO Hiroshi 오노 히로시
아크릴판과 종이 표면에 프러시안 블루의 아크릴 물감을 발라 세 겹의 화면을 구축하였다. 표면에 물질성이 현저하게 드러나는 상태를 데칼코마니로 만들고, 표면에는 균질하고 평평한 상태를 만들었다. 또한, 그림 용지의 표면에 물로 옅게 녹인 아크릴 물감을 떨어뜨리거나 침투시키거나 해서 네 가지의 다른 아크릴 물감 상태를 이용하여 작품을 완성했다. 사용한 아크릴 물감은 청색의 모노크롬 작품이지만, 변화를 가득 담은 물감의 표현이 표정이 풍부한 화면으로 완성되는 것이다.
강석호 seokho kang
사진과 반응하는 그리기를 시도한다. 이는 작가 후나다 카요와의 연결지점을 생성하면서 동시에 작가 특유의 색채, 붓을 두들기며 완성해 나가는 즉흥성 등을 재료로 삼아 회화와 사진 간의 교차점과 상이점을 탐구해 본다.
김시연 Kim Siyeon
나에게 작품을 만드는 과정은 주변의 사물이 미묘하게 어긋난 그 틈으로 들어가는 일, 그 틈을 가능한 한 넓게 벌리는 일, 그 틈으로 무한대의 상상과 한순간의 쉼을 체험하는 일이다. 눈에 보이는 사물의 정의나 상투적인 의미에만 매달리지 않고 자유롭게 사는 절제와 균형의 갈망, 중요하지 않다고 여겨지는 것의 중요함에 대한 사유이다.
박지훈 Park Jihoon
작업은 대부분 나 자신의 결핍과 장애의 경험으로부터 출발하며 이런 구질하고 신파(新派)스러운 주제들을 미술이라는 장치가 친절하게도 자동으로 부여하는 개별적이고 특이한 지점 위에 위치시키고 그 노력이 좁고 긴 소통이라는 통로에서 사람들과 만나고자 노력한다.
백정기 Beak Jungki
<Memorieal Antenna>는 흔히 볼 수 있는 동상을 단파 라디오를 받아들이는 안테나로 이용해서 사운드를 현장에서 전달하는 프로젝트다. 동상에 인위적으로 부여한 의미나 각종 상징에서 벗어나 그 자체가 가지는 물질적인 특성을 활용한다. 동상은 대부분 도체로, 전기가 잘 통하는 물질이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해 동상을 일의 안테나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번 전시에는 마라토너 금메달리스트 손기정 선수의 동상을 안테나로 활용했던 설치작업의 아카이브 자료들을 출품한다.
최승훈 Choi Sunghun
최승훈은 다양한 매체를 이용하여 언어, 인식, 이미지, 감각 등을 심미적으로 결합, 재배치하거나 해체하는 작업을 시도하고 있다. 2014년 스페이스 윌링앤딜링에서 개최한 개인전에서 선보인 <monologue 001> 영상 작업을 조명작업으로 제작하였다.
한정림 Han Junglim
다섯 개의 방에는 다른 시간성을 가진 무엇들이 있다. 변화의 가능성을 갖고 그 성장을 기다린다. 언제나 변화와 성취에는 임계점이란 시간이 요구된다고 한다. 우리가 일상에서 간절히 바라는 것들은 기본적으로 그 시간이 필요하다. 감정의 임계점을 저울질 해본다.
홍범 Hong Buhm
밤의 도시는 낮과 달리 그동안 숨겨져 왔던 빛들이 출몰하는 시간이 된다. 하나둘, 창가 밖 거리와 골목 그리고 수많은 사무실과 방들을 비추는 빛들은 귀환의 속도에 맞추어 하나의 리듬이 되어 흐르기 시작하고 생각은 그사이에 삽입이 되어 겹쳐지고 사라진다. 밤거리에 켜져 있는 빛들을 초점을 흐리게 잡아 공간의 깊이를 없애고 온전히 빛의 움직임과 리듬을 보여주면서, 그에 편승하며 떠다니는 생각의 흐름을 표현해봤다. 동시에 그 빛 의 위치와 모습에서 어렴풋이 그 빛이 비치고 있을 어떤 공간을 다시 떠올리게 하고 빛의 크기와 상태로 깊이를 만들어내는 인식의 움직임에 관해서도 이야기해보고 싶었다.
VI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