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낭만주의자의 신비극
김정욱, 남진우
A-jungwook,jinu202201.jpg

<낭만주의자의 신비극 Mystery Play of Romanticist>
김정욱, 남진우 Jungwook Kim, Jinu Nam

2022. 8. 31 Wed ~ 2022. 10. 7 Fri

전시소개

‘신비극(Mystery Play)’은 중세시대 종교 연극으로부터 비롯된 용어이다. 이는 기독교의 교리를 전파하기 위한 극형식으로부터 출발하여 신화, 마법, 구전 등이 가미된 상상력이 증폭되면서 점차 비형식적 판타지를 구현하는 형태로 변한다. 주로 성경 속에서 다루는 기적을 행하는 내용의 연극을 기적극 혹은 신비극이라 명명했는데, “mystery라는 단어의 어원은 영어나 프랑스어로 직업인을 뜻하는 ‘mystere’라는 말에서 온 것이다. 그 실연자들은 주로 기술자들이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신비극 [mystery plays, 神秘劇]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이 극형식은 화려하고 비현실적인 이미지와 컨텐츠 때문에 16세기에 소멸한다. 천사, 용, 신화, 기적 등의 이야기와 이미지는 실존적 사고를 키워나가던 르네상스 시대의 철학과는 맞지 않다고 여겼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스페이스 윌링앤딜링은 2022년 8월 31일부터 10월 7일까지 김정욱, 남진우 작가의 2인전 <낭만주의자의 신비극>을 개최한다. 이 전시의 제목으로 사용된 ‘낭만(romantic)’과 ‘신비(mystery)’ 등의 단어는 어감만으로도 강하게 그 감각적 뉘앙스를 쉽게 떠올릴 수 있는 일상용어이지만 동시에 특정 장르를 가리키는 고유명사로서 활용되어 온 단어이기도 하다. 앞서 설명한 ‘신비극’이 연극 사조로서 고유명사화된 용어이듯 ‘낭만주의 Romanticism(18세기의 유럽 미술의 경향으로 고전주의의 엄격한 제도에 반하는 개인의 감성과 상상력을 강조한다.) 역시 고유명사화된 미술사조이다. 이 전시는 두 명의 참여작가인 김정욱과 남진우를 낭만주의자로 설정하며, 이들의 작업을 통하여 ‘신비극’과의 형식적 교집합을 인식하게 하여 이를 현시대의 맥락안에서 소개하고자 한다.

김정욱 작가는 활동 초기에 화면 전체에 초상화 형식으로 검은 톤의 인물을 그려 넣어 인상적인 이미지로 그의 독특한 작품세계를 소개하였다. 대상이 된 인물은 크고 검은 눈과 긴 머리카락이 강조되어 혹자에게는 공포스러운 도상이 되기도 하였고, 혹은 빨려 들어갈 것 같은 강렬한 시선의 인물이 주는 아우라에 종교적 감흥을 떠올리기도 했다. 최근 몇 년간 김정욱 작가는 사이보그를 떠올리게 하는 미래적 인물을 그리기 시작했는데, 그의 작업 중에서 거대한 인물화 외에 우주의 어느 별에서 바라보는 풍경들을 그려낸 스타일과 관련한다.

즉 초기의 인물 그림의 무한히 빨려 들어갈 듯한 눈의 묘사는 그 너머 (아마도)우주의 광활한 공간으로 연결되는 듯했고, 이는 별도의 풍경화의 형식으로 묘사한 작업들로 선보였으며, 우주의 풍경은 또한 사이보그의 표면처럼 매끈한 금속성 피부를 가진 미래 존재의 초상이 지닌 눈을 통하여 들여다보듯 그리고 있다. 이처럼 순환하는 관계 속에서 김정욱이 표현하고자 하는 우주의 모습은 저 멀리 존재하는 미지의 영역이라기보다는 현재 내 안에서, 그리고 나의 주변에 도사리고 있는 세상을 반영한 것이라 말한다.

남진우 작가는 흔히 발견되지는 않지만 심해에 존재하는 대왕오징어에 대한 오랜 애정을 가지고 있다. 어릴 적 즐겨보던 전대물에서 전형적인 주인공 로봇과 악당으로 분하는 괴물과의 전투씬을 회상할 때, 늘 패배하고 미움을 받는 괴물들의 모습에서 자신의 모습을 찾곤 하였다. 이는 오랜 시간 외국에서 생활하면서 이방인으로서의 자신이 갖추어야 하는 방어적 기질이기도 한데, 이들 괴물의 기이한 형상들과 자신을 동일시했던 것이다. 악당 캐릭터로서의 대왕 오징어는 천사를 연상하게 하는 날개를 가진 전형적인 예쁜 외모인 정의의 군단으로 설정된 무리와 대립구도를 보여주며 종교적, 신화적 이미지를 제시해 왔다. 화면 속 이미지와 내러티브는 성경, 고전 소설, 신화, 영화, 만화 등 다양한 문화적 층위를 반영하고 있다. 동시에 작가는 지금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는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문제들에 대한 은유적이며 상징적 도상으로서 자신의 작업에서 드러나는 선과 악의 이미지를 대입한다.

이번 전시에서 소개하는 김정욱, 남진우 작가는 역설적이게도 비현실적 도상 속에서 현실에 대한 인식을 끌고 들어온다. 이는 신비극이라는 무대를 구현하기 위해 정교한 기술을 필요로 하며 수많은 기술자들의 퍼포먼스가 훨씬 더 중요했던 그 시대의 현장을 반영하는 태도이기도 하다.

작가소개

김정욱 1970년생. 덕성여자대학교 동양화과를 졸업했다. 갤러리 스케이프(2015) 등 수차례의 개인전을 가졌고 국립현대미술관(2022), 스페이스 윌링앤딜링(2021), 세종문화회관 미술관(2020), 서울대미술관(2020), 수원시립아이파크미술관(2019) 등에서의 그룹전에 참여했다. 가파도 아티스트 인 레지던스(2019) 등의 레지던시에 참여했으며, 정경자미술문화재단 신인작가후원상(1996)을 수상했다. 2023년 OCI 미술관에서의 개인전 예정. 국립현대미술관 / 서울시립미술관 / 서울대학교미술관 / HOW Art Museum(중국) / OCI미술관 / Project space 176(영국) 등 소장.

남진우 1985년생. 홍익대학교 회화과를 졸업했다. 스페이스 윌링앤딜링(2021 <끔찍하고 아름다운>), 아웃사이트(2021 <에덴으로의 길>), 벗이미술관(2020 <비현실의 왕국>), 갤러리 도올(2018 <ANOYHER MONSTER>)에서 개인전을 가졌다. 그룹전으로는 <젊은모색>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2021), <夢스터> 천안시립미술관(2021), <기억장치 - Virtual memory> 대안공간 루프(2019), <Scenographic Imagination> 베이징코뮨 (2019) 등을 가졌다. 국립현대미술관 / 벗이미술관 / Colección Solo(스페인) 등 작품 소장.

"Mystery Play" is a term derived from medieval religious plays. Starting from the theater structure to spread the doctrine of Christianity, the imagination containing myths, magic, oral traditions, etc. is amplified, gradually changing to the form of implementing unstructured fantasy. The genre is mainly derived from the Bible and is derived from the word "mystere," which means "expert" in English or French. The realist of the stage was mainly engineer, which disappeared in the 16th century due to its colorful and unrealistic images and content. This may be because the stories and images of angels, dragons, myths, and miracles did not fit with the philosophy of the Renaissance, an existential era fostered.

Space Willing N Dealing will hold a two-person exhibition "Mystery Play of Romanticist" by Kim Jungwook and Nam Jinu from August 31 to September 30, 2022. Words such as "romantic" and "mystery" used as the title of the exhibition are everyday terms that can strongly recall sensory nuances, but at the same time, they have been used as proper nouns in art history to refer to specific genres. Just as "mystery" is a term that has become a proper noun as a theatrical tendency, "romanticism" (the trend of European art in the 18th century emphasizes individual sensitivity and imagination against the strict system of classicalism) is also an artistic trend that has become a proper noun. This exhibition sets two participating artists, Kim Jungwook and Nam Jinu, as romanticists, to recognize the intersection with "mystery play" in terms of form and replace it within a contemporary context.

Kim Jungwook introduced her unique work style with impressive black-tone portrait fullfilling the screen on her early activities. The described figures create unique appearance by large black eyes and long hair, which was a terrifying icon for some, or a religious impression of the aura given by a person with a strong gaze seemed to be sucked in. In recent years, Kim Jungwook has begun to paint futuristic figures reminiscent of cyborgs, related to the style of painting landscapes from the unknown universe in addition to huge portraits.

In other words, the portrayal of infinitely drawing out early figures seemed to lead to (probably) a vast space beyond, presented in a separate landscape form, and the landscape can also be viewed through the eyes of metallic skin portraits such as cyborg surfaces. Kim Jung-wook, who circulates in this way, says that the image of the universe she is trying to express reflects the world lurking inside and around her rather than the unknown that exists far away.

Nam Jinu has a long-standing affection for the rare giant squid. When he recalled the battle scenes of a monster playing a typical main character robot and a villain in animations he enjoyed watching as a child, he always found himself in the image of a monster who was defeated and hated. This is a defensive temperament that he, who has lived abroad for a long time, should have as a stranger, and he identified himself as a strange image of these monsters. The giant squid, which appears as a villain character, presents a religious and mythical image and shows a confrontation with a group set in the Legion of Justice, a typical pretty figure with wings reminiscent of an angel. The images and narratives on the screen reflect various cultural levels, including the Bible, classical novels, myths, movies, and cartoons, etc.. At the same time, the artist substitutes the images of good and evil revealed in his work as a metaphorical and symbolic representation of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problems occurring in real life.

Paradoxically, Kim Jungwook and Nam Jinu draw unrealistic perceptions of reality through their works. In the Middle Ages, when sophisticated techniques were needed to realize the stage of "mystery play," the performance of numerous engineers was much more important, which reflects this era.

KIM Jungwook, Born in 1970. Graduated from Duksung Women's University majoring in Oriental painting She held several individual exhibitions, including Gallery Skape(2015), and participated in group exhibitions at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2022), Space Willing N Dealing (2021), Museum of Sejong Center for the Performing Arts (2020), Seoul National University Museum(2020) and Suwon I-Park Museum(2019). She was selected as a residencesuch as Gapado's Artist Residence (2019) and won the Best New Artist Award (1996) of the Jeong Kyung-ja Art and Culture Award (1996). Upcoming exhibition is at OCI Museum of Art in 2023.

collection :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Seoul Museum of Art, Seoul National University Museum of Art, HOW Art Museum (China), OCI Museum of Art, Project space 176 (UK)

NAM Jinu, Born in 1985. Graduated from Hongik University majoring in painting. Individual exhibitions were held at Space Willing & Dealing (2021 <Terrible and Beautiful>), Outsite (2021 <Road to Eden>), Friend Art Museum (2020 <Kingdom of Non-reality>), and Gallery Dole (2018 <ANOYHER MONSTER>). NAM participated in various group exhibitions including at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2021), Cheonan Museum of Art (2021), Alternative Space Loop (2019), and Beijing Commune (2019).

collection :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Art Museum Versi, Colección Solo(Madrid, Spain)

VIEWS

A-jungwook,jinu202202.jpg
A-jungwook,jinu202203.jpg
A-jungwook,jinu202204.jpg
A-jungwook,jinu202207.jpg
A-jungwook,jinu202209.jpg
A-jungwook,jinu202210.jpg
A-jungwook,jinu202213.jpg
A-jungwook,jinu202212.jpg
A-jungwook,jinu202214.jpg
A-jungwook,jinu202222.jpg
A-jungwook,jinu202217.jpg
A-jungwook,jinu202211.jpg
A-jungwook,jinu202206.jpg
A-jungwook,jinu202205.jpg
A-jungwook,jinu202208.jpg
A-jungwook,jinu202216.jpg
A-jungwook,jinu202218.jpg
A-jungwook,jinu202219.jpg
A-jungwook,jinu202220.jpg
A-jungwook,jinu202221.jpg
A-jungwook,jinu202215.jpg
A-jungwook,jinu202223.jpg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