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강주리 포스터.jpg

무향시간

無向時間

No Arrow of Time

강주리
Kang Joolee

후원: 서울특별시, 서울문화재단

(2025년 서울문화재단 예술창작활동지원 선정 프로젝트)


2025. 10. 10 FRI ~ 2025. 11. 02 SUN

전시 소개

스페이스 윌링앤딜링에서는 2025년 10월 10일부터 11월 2일까지 강주리 개인전 <무향시간(無向時間, No Arrow of Time)>을 개최한다. 강주리는 종이와 펜이라는 드로잉의 기본 재료를 기반으로 회화와 설치 작업을 꾸준히 이어오고 있다. 그동안 주제에 충실하면서도 조형성을 중시해온 작가는 이번 전시에서 ‘화면을 점유해 가는 과정’ 자체에 주목한다. 다양한 개체들이 콜라주처럼 균등하게 배치된 화면은 확장과 수렴을 반복하며, 파편화된 이미지들이 부유하는 풍경을 드러낸다.

 

어린 시절 전문적인 바둑 교육을 받았던 강주리는 철저한 계산과 예측 속에서 머릿속으로 수많은 수를 두며 사고하는 법을 익혔다. 그러나 361개의 칸으로 고정된 바둑판 위에서 더 이상 확장되지 않는 제한된 공간은 그에게 일종의 답답함으로 남았다. 이러한 경험은 작가가 모듈화된 화면을 연속적으로 이어가며, 각 화면이 결말을 맺지 않은 채 다음으로 확장되어 가는 유기적 구축성을 탐구하는 계기가 되었다.

 

작가는 올해 전주에서 종이 제작을 경험하며 그 과정 속에서 발생한 예기치 못한 오류를 작업의 일부로 수용했다. 정형화된 제작 과정을 벗어나 우연적 효과를 만들어내는 실험을 통해 종이의 현존성과 물질감을 부각시켰다. 또한 지난해 시도했던 설치 작업에서 바위를 종이로 캐스팅했던 것처럼, 이번 전시에서도 실제 존재의 상태를 그대로 옮기는 ‘프로타쥬(frottage)’ 기법을 활용한다. 식물과 동물, 혹은 서로 다른 동물들이 혼합되어 생성된 그로테스크하게 꿈틀거리는 이미지들처럼, 종이의 섬유질이 뒤얽혀 형성된 물질은 생태계의 표면을 캐스팅하는 매체로 기능한다. 이처럼 장소의 질감을 품은 종이의 층들은 전시장 내에서 관람객이 직접 그 표면의 감각을 체험하도록 이끈다.

작가 소개

강주리는 미국과 한국을 오가며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시각예술가다. 미국 Tufts대학교 보스턴뮤지엄스쿨, 덕성여자대학교를 졸업하였고, 미국 매사추세츠 문화부 아티스트상 수상, 영국 글렌피딕AiR 한국대표로 선정되었다. 미국 쿠에스타대학교Harold J. Miossi아트갤러리(2023), 수림문화재단 김희수아트센터(2021), 경기도미술관(2018), 주스페인한국문화원(2018) 펜실베니아공과대학교갤러리(2015), 뉴햄프셔대학교미술관(2014) 개인전 및 서울대학교미술관(2021), 서울시립미술관 SeMA창고(2020), 창원조각비엔날레(2020), 수원시립미술관(2018), 미국 피츠버그아트뮤지엄(2018), 대만 타이페이시립미술관(2017) 등의 기획전에 참여하였다.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경기문화재단, 페이스북코리아, 글렌피딕-윌리엄그랜트앤선즈 등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고, 아모레퍼시픽 설화수, 삼성 더프레임TV, 현대문학, 홍콩 미라마쇼핑센터 등과 협업하였다. 벤타코리아 갤러리퍼플스튜디오(2024-5), 영국 스코틀랜드 글렌피딕(2023), 경기창작센터(2018),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2017), 미국 윌라파 베이(2015), 중국 Inside-Out아트뮤지엄(2014) 레지던스 작가로 참여하며 작업을 선보여왔다.

Space Willing N Dealing is pleased to present <No Arrow of Time (無向時間)>, a solo exhibition by JooLee Kang on view from October 10 to November 2, 2025. Kang has consistently developed her artistic practice through painting and installation based on the fundamental materials of drawing-paper and ink. In this exhibition, the artist focuses on the process of occupying the pictorial plane while she is faithful to her subject matter as well as emphasizing formal composition. Multiple entities which are evenly arranged like a collage appear in her work and the surface of her paintings repeats cycles of expansion and convergence. Fragmented images reveal drifting landscape.

Having received professional training in Go game (Baduk) during childhood, Kang learned to think through strict calculation and anticipation, visualizing countless moves in her mind. However, a fixed and enclosed field of Go board, composed of 361points and allowed no further expansion, became the source of her frustration. This experience later motivated her to explore a modular pictorial structure that continues seamlessly, where each segment remains open-ended, leading organically to the next.

Earlier this year, Kang experienced traditional papermaking in Jeonju and embraced the unexpected errors that occurred during the process as integral parts of her work. Through experiments that depart from standardized production methods, she accentuated the material presence and tactility of paper by allowing chance to intervene. After her installation of casting rocks last year, she continued to incorporate the frottage technique, transferring the physical state of real objects directly onto the medium. The fibers of paper intertwine to cast surfaces of ecosystem like her grotesquely writhing images of hybrid creatures-plants and animals, or different species of animals. The layered paper, imbued with texture of place, invites viewers to experience tactile sensations of the material directly at the exhibition.

WORKS

[크기변환]6. Aquarium #4.jpg
[크기변환]2. Crowding #1.jpg
[크기변환]KakaoTalk_20251004_131716766_01.jpg
[크기변환]11. Tiny Garden #2.jpg
[크기변환]8. Cabinet of Curiosities #2.jpg
[크기변환]9. Shiny Shelters #1-detail-2.jpg
[크기변환]5. Caterpillar Fungus.jpg
[크기변환]7. Cabinet of Curiosities #1.jpg
[크기변환]10. Wildflowers #1.jpg
KakaoTalk_20251004_131716766.jpg
[크기변환]9. Shiny Shelters #1-detail-1.jpg

VIEWS

[크기변환]DSC02341.jpg
[크기변환]DSC02343.jpg
[크기변환]DSC02349.jpg
[크기변환]DSC02342.jpg
[크기변환]DSC02356.jpg
[크기변환]DSC02354.jpg
[크기변환]DSC02355.jpg
[크기변환]DSC02353.jpg
[크기변환]DSC02345.jpg
[크기변환]DSC02346.jpg
[크기변환]DSC02347.jpg
[크기변환]DSC02351.jpg
[크기변환]DSC02352.jpg
[크기변환]DSC02357.jpg

F2, 48-1 Jahamunro (Changseong-dong 98-19), Jongro-gu, Seoul, Korea 

Wednesday - Sunday, 12 - 7pm

Closed on every Monday, Tuesday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 48-1

(창성동 98-19) 2층

수 - 일 12:00-7:00pm

매주 월, 화요일 휴관

윌링앤딜링은 모든 거래에 대한 책임과 배송,교환,환불,민원등의 처리는 윌링앤딜링에서 진행합니다.

민원 담당자 한황수 / 연락처 02-797-7893

​윌링앤딜링 아트컨설팅 / 101-10-18869

통신판매신고번호 : 2022-서울종로-0151 / 대표 김인선

T / F +82 2 797 7893

 

willingndealing02@gmail.com

  • 블랙 인스 타 그램 아이콘
  • unnamed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