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잃어버린 한 쪽 다리와 태어날 천 개의 발
A Lost Leg And A Thousand Feet To Be Born
강서현
Kang Seohyun
2025. 3. 5 WED ~ 2025. 3. 30 SUN
○ 주관, 후원 : MnJ 문화복지재단
○ 주최 : 스페이스 윌링앤딜링
○ 기획: 강서현, 한준희
전시소개
다수는 종종 소수를 향해 차별과 혐오의 감정을 표출하곤 한다. 이러한 경향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우선 각 개인이 지닌 ‘다름’을 인정해야 한다. 강서현은 사회가 당연하게 여기는 기준과 가치관 속에서 ‘다름’이 곧 ‘결핍’으로 인식되는 현상에 주목한다. 작가는 회화와 입체작업을 통해, 각자의 ‘다름’이 단순한 부족함이 아니라 더 넓은 가능성을 열어줄 수 있다는 관점을 상상력으로 풀어낸다. 폭력과 연민이 공존하는 특유의 은유와 상징적 도상으로 가득 채운 화면을 통해, 관객이 현실 세계를 다시금 성찰하도록 유도한다.
강서현은 대학과 대학원에서 시각디자인을 전공했으며, 졸업 후 독학으로 회화, 드로잉, 도자, 입체 등 다양한 장르를 탐구하고 있다. 초기 작업에서는 작은 화면 속에 빽빽하게 캐릭터를 배치해 특정 장면을 묘사하곤 했는데, 전대물에 등장할 법한 로봇 캐릭터, 동물, 기계 인간의 하이브리드적 존재들이 어우러져 혼란스러운 대립의 풍경을 형성했다.
2025년 스페이스 윌링앤딜링에서의 개인전 <잃어버린 한 쪽 다리와 태어날 천 개의 발> 에서 강서현은 특정 시대의 전쟁 장면을 연상시키는 서사를 중심으로 작업을 전개한다. 소설 ‘반쪼가리 자작(이탈로 칼비노)’에서 영감을 받은 캐릭터 및 장면으로 구성된 이번 전시는 전시공간 속 대형 캔버스를 중심으로 대서사가 펼쳐진다. 중세시대가 배경일 법한 서사를 연상케하는 이미지가 거대한 표면에서 무대 공간처럼 드러난다. 이미지의 디테일마다 상징과 은유를 부여하며 상상력을 자극한다. 작가는 반쪽 뭄뚱이로 묘사된 인간, 동물, 식물 등 수 많은 캐릭터들에게 부여될법한 다양한 종류의 발을 흙으로 빚은 후 이를 굽고 채색하였다. 이는 결핍되어 있다고 보이는, 당연히 있었어야 할 신체인 발 부분이 어떤 형태를 띠고 있을 수 있는지에 대한 수많은 가능성을 부여하는 행위이다. 작품 속에는 하나의 캐릭터에게 부여된 천사와 악마의 날개, 인간과 동물의 혼성체, 평화와 폭력을 상징하는 이중적 요소들이 뒤섞이며 혼란스러운 아비규환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이는 우리가 현실에서 마주하는 다양한 가치관의 충돌, 정치적 이념의 갈등, 세대 간 또는 성별 간의 대립 등, 삶 자체가 거대한 전쟁터임을 상기시킨다.
CV
학력
2017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술학석사 디자인학부 시각디자인
2012 한양대학교 미술학사 시각패키지디자인
개인전
2024 사랑과 죽음과 고통이 말을 타고 달리네, CHMBR(챔버), 서울
2023 Macho Me, Macho!, YPC SPACE, 서울
2021 Lost in Daydreams, 공간사일삼, 서울
단체전 및 스크리닝
2024 Bloom Bloom, Factory2, 서울
2023 삼선평 건샾, CHMBR(챔버), 서울
2023 센티센티, 갤러리 피앤킴, 서울
2023 드로잉 그로잉(Drawing-Growing), 탈영역 우정국, 서울
2023 내 책상 위의 천사, Factory2, 서울
2022 앙코르 더 프리뷰, 예술의 전당, 서울
2022 Circuit Seoul #2, 루프스테이션 익선, 서울
2022 EULJI WAVE, 에브리아트, 서울
2022 더 프리뷰 with 신한카드, 에스팩토리 D동 성수, 서울
2021 그림도시 S#6 차원의 도시, 그라운드 시소 성수, 서울
2021 제22회 전주국제영화제 <100films100posters>, 팔복예술공장, 전주
Exhibition Introduction
The majority often expresses discrimination and hatred toward the minority. To overcome such tendencies, we must first recognize and accept individual differences. KANG Seohyun focuses on how society perceives ‘difference’ as a ‘deficiency’ within its normative values. Through paintings and sculptural works, the artist visualizes the idea that difference is not a lack but an expansion of possibilities. By filling the canvas with a unique blend of metaphor and symbolism, where violence and compassion coexist, the artist encourages viewers to reflect on the real world.
KANG Seohyun majored in Visual Design in both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ies but later explored various artistic mediums, including painting, drawing, ceramics, and sculpture, through self-study. In the early stages of the artist’s career, densely packed characters within small-scale paintings depicted chaotic confrontations—hybrid beings of robots, animals, and mechanical humans reminiscent of tokusatsu heroes engaged in intense conflicts.
In the solo exhibition ‘The Lost Leg and a Thousand Feet to Be Born’ at Space Willing N Dealing in 2025, KANG Seohyun unfolds a grand narrative reminiscent of historical wartime scenes. Drawing inspiration from Italo Calvino’s novel ‘The Cloven Viscount’, the exhibition constructs its visual storytelling through large-scale canvases that dominate the space, evoking a theatrical stage set in a medieval-like era. Each intricate detail of the imagery is embedded with symbolic and metaphorical elements that stimulate the imagination.
The artist has crafted numerous clay feet, fired and painted, envisioning the potential forms that an absent body part—specifically, the missing leg—could take. This act of creation grants a multitude of possibilities to what may initially seem like a deficiency. Within the works, dualistic elements such as angelic and demonic wings, human-animal hybrids, and symbols of peace and violence intertwine, generating a chaotic battlefield. This imagery serves as a poignant reminder of the conflicts we face in reality—clashes of ideologies, political disputes, generational and gender divides—ultimately illustrating life itself as an immense battleground.
WORKS

.jpg)
.jpg)
.jpg)
.jpg)
.jpg)
.jpg)
.jpg)
.jpg)
.jpg)
VIEWS
.jpg)
.jpg)
.jpg)
.jpg)
.jpg)
.jpg)
_JPG.jpg)
_JPG.jpg)
_JPG.jpg)
_JPG.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