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다크체인지 포스터.png

다크 체인지

Dark Change

박노완, 정현두

(기획:김진주)


2024. 11. 13 WED ~ 12. 08 SUN

Arist Talk 2024. 11. 28 THU

LIVE INSTA @space_willingndealing

전시소개

《다크 체인지 Dark Change》는 김진주 기획, 스페이스 윌링앤딜링에서 개최하는 회화 작가 박노완, 정현두의 2인전으로 2024년 11월 13일 수요일부터 12월 8일 일요일까지 진행된다. 전시는 박노완과 정현두가 자신의 회화에서 말하는 화가이자 동시대인으로서 지닌 내밀한 서사에 주목하며, 적막과 어둠이 찾아온 시대 속 회화, 그리고 화가가 지닐 수 있는 무고한 가치에 대해 말한다.

이번 전시는 2024년 1월부터 두 작가가 기존에 진행한 작업 세계를 더듬으며, 대화와 글의 오감을 통해 ‘암전’과 같은 시간을 함께 보내고 각자의 작업에 반영한 이야기들을 선보인다. 박노완은 수채 물감에 아라비아 고무를 섞어 캔버스에 채색하는 방식을 유지하며 오늘날 가볍고도 빠르게 지나가는 일상적인 형상들, 가상의 이미지들을 엮어 스스로 미묘하게 체감하는 인지적 변화를 회화로 구현해 왔다. 정현두는 그림을 그리는 자신의 몸이 움직이는 동안 물감에 담기는 추상적 색채, 선을 화면 위에 표현하며 그리기의 시간에서 발생하는 감각의 일을 회화에 담아내 왔다. 지난 봄, 두 작가는 기획자에게 “나의 세계가 무너졌다”라는 문구를 건네받고 그 이후에 벌어질 상황을 서사의 형태로 떠올린 상상을 나누었다. 그 과정에서 박노완은 음울한 미래를 제시하며 인간에게 벌어질 피하지 못할 상황들을 암시하는 인물로서 자신의 이야기를 꺼냈고, 정현두는 서사를 이끌어가는 하나의 인물을 제시하며 박노완과는 또다른 초현실적 순간들을 펼쳤다. 이를 토대로 두 작가는 각자의 상상에 기반한 새로운 회화를 제작했다. 박노완은 이전과 달리 화면에서는 인물이 흐려지고 기하도형을 토대로 한 추상적 표현을, 정현두는 구체적인 인물 표현이 두드러진 구성을 시도했다.

전시 제목 ‘다크 체인지(dark change)’는 연극에서 무대 장치나 장면을 바꾸기 위해 조명을 암전하여 무대를 잠시 어둡게 만드는 과정을 일컫는다. 두 사람이 무너진 세계의 이후를 상상하는 일은, 동시대 화가가 그리기의 시간에서 항상 마주하게 되는 적막과 어둠의 시간과도 유사하다. 이들이 지속하는 화가의 일과 회화의 표현은 이미 구축된 세계를 전복하고 뒤집다가도, 이어보고 붙여보는 과정의 연속이다. 주변에서 일어나는 수많은 사회적, 문화적 확장을 지켜보며 그 속에서 자신이 해낼 수 있는 지점은 무엇인지를 끊임없이 상상하는 것은 현재의 화가라는 위치를 점한 이들에게 주어진 숙제일 테다. 마치 고할 것이 없어도 늘 무언가 고할 것을 요청받는 화가들에게는, 그저 무고하다는 말을 되뇌이듯 지속과 암전, 전환과 또 다른 지속을 이어나갈 자리가 필요한지도 모른다. 박노완과 정현두가 오늘을 살아가는 화가로서 지켜 나가는 움직임으로써, 전시는 이들의 세계가 무너진 이후의 작은 상상을 펼쳐내 본다. (글. 김진주)

작가소개

​박노완

박노완(1987년생)의 그림에서는 사물에게 부여된 이름을 통해 개념적으로 인식하는 모습과 실견하게 된 사물 간의 격차를 확인하게 된다. 그것이 비록 사소한 일상에서 마주한 것을 대상으로 할지라 도, 물리적으로 첫대면한 특정 사물에 대한 주관적인 통찰과 관찰, 그리고 작가의 감정이입의 과정에서 재해석되어 만들어진 이미지는 모호해 보이는 선과 형태감과 색감을 보여주며 관객으로 하여금 진지한 관찰을 끌어낸다. 이미지의 형상을 묘사하기보다는 이미지로부터 공명할 수 있는 감정을 최대한 표현함으로써 관객에게 작가가 가진 눈을 거쳐 그가 그린 대상을 경험하는 과정에서의 감정을 목격하게 한다.

홍익대학교 회화과 학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조형예술과 석사 졸업.

기체갤러리(2022년), 스페이스 윌링앤딜링(2021), 가변크기(2018)에서 개인전을 가졌다. 2019년 갤러리SP, 어쩌다갤러리 2, 2020년 스페이스 윌링앤딜링, 원앤제이갤러리, 2023년 에브리아트, 카다로그, DMZ, 2024년 일우스페이스 등의 그룹전에 참여했다. 2024년도 종근당 예술지상 수상 작가로 지목되었다.

정현두

정현두(1987년생)의 추상화는 자연 풍경을 대상으로 삼고 이를 변형시키며 시작되었으며, 최근 그 대상은 인물과 상상된 모습의 공간 등으로 변화를 가지곤 하고 있다. 사라진 형태에 남아있는 작가의 움직임의 흔적은 그림과 작가가 물아일체 된 역동적인 태도를 연상시키기도 한다. 정현두는 작업 표면에 그려진 혹은 발려진 물감의 흔적은 그 자체로 조형 언어가 될 수도, 그가 보고 있는 대상 자체가 될 수도 있다고 말한다. 그가 머리 속에서 떠올리는 특정 단어가 시각 이미지로 현현되었을 때, 몸의 제스쳐가 더해지며 원하는 바로 그 대상을 선명하게 구현하는 과정이라 여긴다. 레이어가 형성된 화면은 색감의 밀도감을 더하면서도 채도를 유지하거나 혹은 무겁게 만들기도 하며, 동시에 표면으로부터 다른 종류의 공간을 향하듯 그 화면을 형성하기도 하면서 전체 이미지는 온전한 추상과 감각의 결과물로서 드러난다.

홍익대학교 회화과 학부 및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조형예술학 석사 졸업.​

2024년 에이라운지, 2019년 스페이스 윌링앤딜링, 2018년 위켄드, 2017년 공간형 등에서 개인전을 가졌으며 2024년에는 스페이스 윌링앤딜링에서 2인전이 예정되어 있다. 2024년 CASE_SEOUL, 2023년 신한 갤러리 및 뉴욕 록펠러 센터, 2022년 아트스페이스3, 2021년 카다로그, 2020년 경기창작센터, 2016년 서울과기대학교 미술관 등에서의 기획전에 참여하였다. 참여 레지던시로는 경기창작센터 등이 있다.

기획자소개

김진주

김진주는 전시를 기획하고 글을 쓴다. 지형이 뒤바뀌거나 교차하며 미술의 바탕이 변화하는 지점에 관심을 둔다. 눈과 세계 사이의 보이지 않는 상호작용을 믿는다.

《Issy Wood: I Like To Watch》(일민미술관, 2023), 《계란에서 사과까지》(신한갤러리, 2023, 기획협력), 《릴리》(WESS, 2022), 《팁과 요령: 오늘 당신의 눈은 어떤 세계를 보게 될까요?》(김세중미술관, 2020), 《단단한 바탕-미리보기》(복도갤러리, 2018) 등을 기획했다. 일민미술관에서 어시스턴트 큐레이터로 일했고 예술현장과 이론에 관한 연구 공동체 ‘마코(Maco)’를 운영하고 있다.

Exhibition Text (written by Kim Jinjoo)

A heavy silence settles, and darkness falls on the ground where the two stand. Here they are, caught between demands to speak when there is nothing to say, pushed along by those who insist they declare something—even as they find themselves unable to claim innocence. Soon, electric cars may rule the world’s roads quietly, and AI advances so smoothly that a chatbot could ghostwrite without anyone noticing. Perhaps this bleak outlook—the sense of lost expectations—is really a sign that everything has been met with unsettling completeness.

And yet, here are these painters, gazing endlessly at the canvas, their brushes moving slowly. Painters! It’s a title that almost seems ill-fitted in an age so swift in finding “the right thing.” Nevertheless, here they are—two painters. The world around them moves on, unaffected by those who remain distant from its pace and direction. Rather than cheering on, leading, or adapting to the world, they observe, contemplate, and at times, lament. Shadows as murky as the darkness stretch across the ground they stand on, pushing them deeper into silence.

There’s no call for them to disappear, but nor are they still. Instead, a subdued clash of suppressed sounds and stifled movements forms a quiet around them. If one were to ask what they are doing, there would be nothing more to say than a faint response: they are “painting.”

The exhibition 《Dark Change》 brings together the works of Park Noh-wan and Jung Hyundoo, who have shared their reflective dialogues and writings since last winter, exploring and internalizing experiences akin to an extended darkness. Park Noh-wan continues his practice of blending watercolor with gum arabic, creating images on canvas that subtly capture his perception of fleeting, virtual images of the contemporary. Jung Hyundoo, meanwhile, paints with abstract colors and lines, encapsulating sensory experiences as his body moves, painting time itself onto the canvas.

This past summer, the curator introduced the phrase “My world has collapsed” to both artists, prompting them to write about imagined scenarios inspired by this idea. Park responded with a narrative of an inevitable, gloomy future, hinting at unavoidable events for humanity, while Jung depicted a surreal narrative led by a character different from Park’s, unfolding unique scenes. These imaginative reflections, whether intentional or not, seeped into their works, disrupting previous stylistic approaches with novel structures. Consequently, Park’s canvases now feature shapes that are visibly more abstract, favoring geometric forms over concrete depictions, while Jung’s paintings introduce figure-like motifs engaged in repetitive, bizarre actions, such as inversion and fragmentation.

Park reflects on his “collapsed world” by asserting, “If my world has collapsed, I would flee again.” In his narrative, the fleeing character represents “a world that once held identifiable shapes, long preserved in my art.” Through this, he decides to “momentarily dismantle existing meanings and create new, internal rules.” Reflecting on his past led him to question, “Am I truly listening to my own story?” He realized that he himself had dismantled his world, revealing an autobiographical introspection in which he becomes the very character who flees. This acknowledgment freed him from depicting concrete forms in his work, granting him “autonomy and satisfaction,” though accompanied by “frustration.” His imagination conveyed the notion that his self-demolished world had become a platform for escape, a theme reflecting his persistent pessimism about reality. He lamented the discomfort stemming from his ongoing desire to escape, leading him to repeatedly imply that he, as an artist, remains unable to claim innocence.

Jung Hyundoo, upon hearing the phrase “My world has collapsed,” imagined three characters. The first was himself, observing the world with a sense of irony, eating endless plates of pork cutlets under a surreal downpour of solid rain. Despite the bizarre situation, he finds unexpected delight, exclaiming, “It’s like a crystal world!” and calls out to those around him, saying, “Look up, the sky is turning yellow!” The second character is a version of his past self, a frequent visitor in his imaginative world, who wonders whether going back in time might lead to a better life, yet is mainly curious to “experience life in different forms.” In the third vision, he is alone in an empty world, where he imagines, with a sense of resilience, looting convenience stores without worrying about expiration dates. Despite lacking a job or friends, he holds onto the hope that “someone must still be out there,” enduring the solitude. At the end of these imaginings, he pictures himself as “an artist, alone, creating paintings that no one may ever see, or spinning absurd fantasies as he stares at globs of paint,” suggesting the existence of invented figures that would eventually find their way onto his painted surfaces.

In theater, the term “dark change” refers to the brief blackout used to adjust set pieces or change scenes. The two artists’ process of imagining a world beyond collapse feels similar to this theatrical pause, akin to the silence and darkness painters frequently encounter in their creative journey. Their ongoing work as painters, and the expressive evolution within their art, involves continuously overturning and reconstructing the established world. Observing the endless social and cultural shifts around them, they imagine where their work might find relevance within this environment—a relentless, daily task for artists in the present moment. Even when there is nothing specific to convey, artists often feel an unspoken expectation to declare something, perhaps finding themselves in a cycle of persistence, darkness, transformation, and yet more persistence. In Dark Change, Park Noh-wan and Jung Hyundoo unfold their visions of a world beyond collapse, as part of their journey as contemporary painters, continually striving to create within this place they inhabit.

WORKS

박노완_4.Untitled, Watercolor on canvas, 72.7x53cm, 2024.jpg
박노완_7.Untitled, Watercolor on canvas, 72.7x60.6cm, 2024.jpg
박노완_10.Untitled, Watercolor on canvas, 76x46cm,  2024.jpg
박노완_2.Untitled, Watercolor on canvas, 75x50cm,  2024.jpg
박노완_15.Untitled, Watercolor on canvas, 162x130.3cm, 2024.jpg
정현두_땅 위에서 달과 함께, 240730-0919 oil on canvas, 225x140cm.jpg
정현두_이름을 지어줄게., 240710-0801,oil on linen, 90x54.7cm.jpg
정현두_슥-슥-슥-슥-, 24.05.12-05.23, oil on linen, 53x40.9cm.jpg
정현두_노란색 그림자-뒤집힌 세계, 240908-1015,oil on canvas, 116.8x80.3cm.jpg
정현두_땅위에서 함께, 240604-0710, oil on canvas, 53x40.9cm.jpg

VIEWS

DSC01419.jpg
DSC01418.jpg
DSC01420.jpg
DSC01424.jpg
DSC01421.jpg
DSC01423.jpg
DSC01422.jpg
DSC01427.jpg
DSC01429.jpg
DSC01428.jpg
DSC01430.jpg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