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끼가 거북이로 변신하는 방법
The Way a Hare transforms into a Turtle

2019년도 국제예술공동기금 한-덴마크 문화예술 교류 프로젝트
<토끼가 거북이로 변신하는 방법>
2019 Korean Arts and Culture International Exchange Project Korea-Denmark
<The Way a Hare transforms into a Turtle>
2019. 6. 28 Fri ~ 2019. 9. 8 Sun
장 소 : 니콜라이 쿤스트홀, 코펜하겐, 덴마크
Nikolaj Kunsthal, Kopenhagen, Denmark
(NIKOLAJ PLADS 10 / 1067 KØBENHAVN K)
http://www.nikolajkunsthal.dk
주최 및 주관 : 스페이스 윌링앤딜링, 니콜라이 쿤스트홀
Space Willing N Dealing, Nikolaj Kusthal
후 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본 전시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2019년도 한-덴마크 문화예술교류프로젝트를 지원받아 제작되었습니다.)
▣ 전시 소개
2019년 6월 28일부터 9월 8일까지 개최되는 <토끼가 거북이로 변신하는 방법>은 덴마크와 한국간의 수교 60주년을 맞이하여 한국과 덴마크 두 국가 간의 문화적 교류를 위해 기획되었다. 스페이스 윌링앤딜링과 니콜라이 쿤스트홀은 2016년 덴마크 지역을 대상으로 한 예술기관 리서치를 통해 처음 인연을 맺었으며, 이 전시를 위해 2018년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기금으로 진행한 리서치에서 보다 구체적이고 긴밀한 양국 기획자의 논의를 이어나가며 따로 또 같이 작가 및 서로의 국가와 문화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전시는 코펜하겐의 니콜라이 쿤스트홀에서 개최되는데, 이곳에서는 전세계의 다양한 현대미술을 소개하고 있다.
전시 제목 <토끼가 거북이로 변신하는 방법>은 유럽과 아시아에 위치한 두 국가의 상이한 문화 교류가 어떤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에서 나온 것이다. 이솝 우화에 등장하는 이야기의 두 유명한 주인공은 전혀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같은 기준점을 두고 경쟁을 하여 우열을 가리려고 한다. 그 기준은 토끼에게 절대적으로 유리해 보였으나 예기치 못한 상황을 맞닥뜨리면서 전세는 역전되고, 아무도 예상하지 못한 결말이 만들어진다. 이 이야기의 취지는 성실함에 대한 교훈을 담고 있는 것이었다. 하지만 경쟁에서 이기는 것에 대한 가치보다는 또 다른 해석이 재생산 되면서 두 개의 상이함은 절대적인 우위를 구분하기 힘든 다양성으로 읽히기도 한다. 따라서 이 전시에서 두 개의 상이함은 두 개의 전혀 다른 문화, 혹은 한국이 처한 남과 북 간의 문화, 혹은 각 작가들간의 상이성을 의미하기도 한다. 국제 교류 전시가 단순히 나와 다른 어떤 것을 보여주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다양하고 확장적인 상호 영향력이 교차하는지 볼 수 있다.
이번 전시는 상호 교류, 타 문화 이해, 관계에 대한 다각적인 사유 등을 끌어낼 수 있는 미술 작업들을 선보임으로써 예술이 삶에 끼치는 영향력과 힘을 보여준다. 지금까지 한국과 덴마크는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있어 긴밀한 교류가 이루어지기는 어려웠다. 각자에게는 익숙한 문화이지만, 다른 문화권 관객에게 전달될 때에는 여러 오역과 혼동이 생겨날지도 모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전시는 발생할 여러 환경적 요인을 수용하면서도 각기 다른 문화의 맥락을 전달하는 유연한 과정을 보여주고자 한다. 더 나아가 한국 현대미술 작가들의 활동 영역을 확장하고 다른 문화에 대한 관심을 끌어내기를 기대해본다.
In celebration of the 60th anniversary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Denmark, exhibition of Korean contemporary artists will be held in Denmark from 28th of June to 8th of September, 2019. Space willing n dealing and Nikolaj Kunsthal first made an alliance with each other in the year 2016. Two curators of each institution kept in touch and researched for this exhibition together. The exhibition venue, Nikolaj Kunsthal, is one of the largest and the most prestigious exhibition space in Kopenhaggen, introducing various contemporary artists around the world.
This exhibition <The Way The Way a Hare transforms into a Turtle> is a cultural exchange exhibition between Korea and Denmark. In this exhibition, we will discuss how two different cultures-one in Europe and another in Asia-can be exchanged. Exhibition title came from this idea. The two characters of famous stories in Aesop's fable-a hare and a turtle- have totally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both of them try to win the race. It seemed absolutely favorable to the hare, but the premises were reversed and unexpected endings were created, encountering unexpected situations. The original intent of this story was to teach lessons about zeal and perseverance can prevail over indolence. However, as other ways of interpreting this story became possible, rather than praising the value of winning, the two different characters are accepted as equally important. In this exhibition, two different characters are metaphors for the two different cultures, current situ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artists. This exhibition will not merely shows something new but shows various and expanding mutual influences and how different understandings can intersect.
This exhibition shows the influence and power of art in life by exhibiting art works that can bring out mutual exchange, understanding of other cultures, and diverse thinking about relationships. Until now, Korea and Denmark have been geographically far apart and it was difficult to make close exchanges. when one’s culture is conveyed to the audience of other country, there may be various misunderstandings and confusion. Nonetheless, this exhibition seeks to show a flexible process that conveys the context of different cultures while accommodating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that may arise. Moreover, we look forward to expanding the activities of Korean contemporary artists and drawing attention to other cultures through this exhibition.
▣ 전시공간 소개 : 니콜라이 쿤스트홀
니콜라이 쿤스트홀(Nikolaj Kunsthal)은 코펜하겐의 심장부에 있는 현대 미술의 예술 센터로서 덴마크 및 국제 시각 예술의 최신 경향에 초점을 맞추어 연간 5-6 건의 주요 전시회를 보여주고 있다. 이 공간은 원래 중세 시대의 교회로 지어진 아름다운 건축을 자랑하고 있으며 현재는 종교적 컨텐츠와는 무관한 예술 장르를 선보인다. 덴마크 코펜하겐 시의회 공인 공식 전시 공간이며 덴마크 예술위원회의 지원을 받는다.
니콜라이 쿤스트홀(Nikolaj Kunsthal)은 1950 년대 후반부터 코펜하겐에서 현대 미술의 핵심 역할을 해왔다. 1962 년의 최초의 국제 Fluxus 사건을 포함하여 1960년대를 통틀어 일련의 주요 전위미술 발현의 장소였다. 1970 년대에는 덴마크 시각 예술가 조합이 건물과 제휴를 맺었으며 1981 년에는 Nikolaj Kunsthal이 공식적으로 취임하게 된다. 1990 년대 중반 이후 코펜하겐 현대 미술의 중심으로서 혁신적이고 실험적인 현대 미술에 중점을 둔 강력한 전시들을 개발하고 있다.
▣ 전시공간 소개 : 스페이스 윌링앤딜링
스페이스 윌링앤딜링(Space Willing N Dealing)은 경리단길, 방배동을 거쳐 2019년 7월 서촌으로 이전하며 시각예술을 기반으로 하는 전시 공간이다. 신진작가부터 중견 작가까지 폭넓은 한국 현대미술 작가군을 소개하는 공간으로서의 역할 뿐 아니라 전시연계 교육 프로그램, 아트 컨설팅, 미술품의 유통에 대한 연구 프로그램, 출판 등 다양하고 유연한 시스템 개발을 해 나가고 있다.
“윌링(willing)하는 것을 딜링(dealing)한다, 즉 원하는 것을 다루어본다”라는 의미의 이름이 표방하듯, 미술계의 여러 시스템을 유연하게 다룰 수 있는 역량을 가지고 한국 현대미술의 확장된 가능성을 실험하고 있다.
▣ 참여작가
권하윤 Kwon Hayoun, 로와정 RohwaJeong, 백정기 Beak Jungki, 윤가림 Yoon Kalim, 이정형 Lee Chunghyung, 조현 Cho Hyun, 장준호 Jang Junho, 장종완 Jang Jongwan, 추미림 Chu Mirim, 야스마인 피셔 Jasmijn Viss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