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kiaf.jpg
윌링앤딜링_Kiaf_메일링 이미지.jpg

● 개요

◾ 행사명 : 키아프 (KIAF)

◾ 일정 : 2023. 9.6 - 9.10

◾ 장소 : 코엑스

◾ 부스 : G26, 그랜드볼룸

◾ 참여작가 : 남진우, 이세준, 정현두

◾ 문의처 : 김인선 대표 010-3125-7893 / 한황수 실장 010-3309-3629

artsy.net/show/space-willing-n-dealing-space-willing-n-dealing-at-galleries-association-of-korea-1?sort=partner_show_position

DSC00683.jpg
DSC00697.jpg
DSC00704.jpg
DSC00694.jpg
DSC00702.jpg
DSC00688.jpg
DSC00691.jpg
DSC00693.jpg
IMG_9209.jpg
px_남진우_거대하고 환상적인 존재 Gigantic fantastical creature, Oil, cotton collage on cotton, 262x302c

<거대하고 환상적인 존재 Gigantic fantastical creature>

Oil, cotton collage on cotton, 262x302cm, 2019

남진우 Nam Jinu

남진우(1985년생)는 오랜 기간 대왕오징어를 소재로 자신의 정체성을 담은 세계관을 그려왔다. 어릴 적 즐겨보던 전대물에서 전형적인 주인공 로봇과 악당으로 분하는 괴물과의 전투씬을 회상할 때, 늘 패배하고 미움을 받는 괴물들의 모습에서 자신의 모습을 찾곤 하였다. 악당 캐릭터로서의 대왕 오징어는 천사를 연상하게 하는 정의의 군단(hero)으로 설정된 무리와 대립구도를 보여주는 특정 서사를 통해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의 부조리함을 드러내고 있다. 화면 속 이미지와 내러티브는 성경, 문학, 신화, 영화, 만화 등 다양한 문화적 층위를 반영하고 있다.

남진우는 캐릭터의 손, 다리, 얼굴 등 신체 각 부분을 잘라낸 후 이를 하나의 화면 위에서 구축하는 방식의 콜라쥬 기법으로 완성하기도 한다. 더 나아가 부조 형식을 만들어내는데, 잘라낸 캔버스천과 부피를 조형할 수 있는 비닐 등의 잡동사니 재료를 활용한다. 최근에는 제단화 형식을 빌어와 종교적 색채를 강조하며 화려한 시각적 자극과 희열 속에 내재된 갈등과 불안감을 표현한다.

 

남진우는 홍익대학교 회화과를 졸업했다.

2023년 에디트한남, 2022년 오시선, 2021년 스페이스 윌링앤딜링, 아웃사이트, 2020년 벗이미술관 등에서 개인전을 가졌다. 2021년 국립현대미술관 젊은 모색, 천안미술관, 2019년 대안공간루프, 2019년 금천문화재단 빈집프로젝트, 베이징 코뮨, 대구미술관 등의 기획전에 초대되었으며 2023년 송은미술대상전에 선정, 전시 예정이다. 참여 레지던시로는 익산창작 스튜디오, 독일 라이프치히 HALLE14(Spinnerri) 등이 있다. 소장처로는 서울시립미술관, 벗이미술관, 마드리드의 Soleccion Solo 등이 있다.

Nam Jinu (born in 1985) has depicted his own identity through his worldview filled with giant squid as a recurring motif. When recalling scenes from the epic tales he enjoyed watching as a child, where the typical protagonist robot fought against monstrous villains, he often found reflections of himself in the defeated and despised monsters. The giant squid as a villain character shows the group and confrontation set as the hero of justice reminiscent of angels, revealing the absurdity of the world we live in through this narrative. The visual images and narratives on the screen reflect various cultural layers, including the Bible, literature, mythology, movies, and comics.

Nam Jinu also completes the collage technique by cutting off each part of the character's body, such as his hands, legs, and face, and then building it on one screen. Furthermore, he creates sculptural forms by utilizing various materials such as vinyl that can shape the cut canvas and add volume. Recently, he has incorporated the form of an altar to emphasize a religious undertone, and the narrative hidden within the imagery of grandeur and beauty presents a disguise that contradicts the inherent conflicts and anxieties embedded in visual stimulation and excitement.

Nam Jinu graduated from Hongik University.

He had solo exhibitions at EDIT Hannam in 2023, Osisun in 2022, Space Willing N Dealing, out-site in 2021, and Art Museum VERSI in 2020 He also was invited to group exhibitions such as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Cheonan Art Museum, Alternative Space Loop in 2019, Geumcheon Cultural Foundation-Empty House Project in 2019, Beijing Commune, and Daegu Art Museum in 2023. Nam has been selected and exhibited at the Songeun Art Awards in 2023. Participating residences include Iksan Creative Studio and Leipzig HALLE14 (Spinnerri) in Germany. The public collection includes the Seoul Museum of Art, Art Museum VERSI, and Soleccion Solo in Madrid.

@squid_clown_gentleman

  • Instagram
px_이세준_Mystical winter, Acrylic on canvas, D40cm, 2019.jpg

<Mystical winter> Acrylic on canvas, D40cm, 2019

이세준 Lee Sejun

이세준(1984년생)의 캔버스 화면에는 구상과 비구상, 높은 채도/명도와 낮은 채도/명도, 사변적 오브제 및 풍경들과 이에 반응하는 관객들의 또 다른 감흥 등이 어우러진다. 즉 극단적으로 다른 형식과 감각이 충돌하는 순간을 포착하기 위해 회화의 표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현상에 주목한다. 또한 캔버스들을 구조적으로 이어나가면서 거대한 장면을 형성하는 '유기적 회화'를 만들어내기도 한다. 이는 관객에게 이미지에 대한 동시적 인식을 불가능하게 하여 세상의 모든 것을 묘사하고자 하는 그의 불가능한 열망을 역설한다.

이세준은 우연한 붓자국, 색면, 구체적 대상들, 심지어 여백까지도 그 영역을 각각 묘사한다. 이는 주요 대상과 이를 둘러싼 배경을 구분하였던 전통적 회화형식을 벗어나 화면 전체를 평등하게 채워나가는 태도이며, 회화가 가지고 있는 '평면'의 본질적 성격을 강조한다.

 

이세준은 홍익대학교 회화과 졸업 후 현재 박사과정에 있다.

2023년 스페이스 윌링앤딜링, 황금향, 2020년 KSD 갤러리, 2016년 케이크 갤러리 등 다수의 개인전을 가졌다. 2022년 시안미술관, 신한갤러리, 2021년 자하미술관, 을지로 OF, 2020년 오산시립미술관, 2019년 단원미술관, 베이징 코뮨, 2018년 보안여관, 2016년 하이트 콜렉션, 서울시립미술관 등 다양한 기획전에 참여했으며 2023년 송은미술대상에 선정, 전시 예정이다. 참여 레지던시로는 고양예술장작공간, 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 북구예술창작소, 양주시립미술창작스튜디오 등이 있으며 가송 예술상, 뉴욕아트쇼 최우수상 등을 수상했다.

The canvas surface of Lee Sejun (born in 1984) combines abstractions and figurative form, high saturation/brightness, and low saturation/brightness, as well as various surreal objects and landscapes, along with the viewers' unique responses. In other words, he focuses on the diverse phenomena that emerge on the surface of paintings to capture moments where radically different forms and sensations collide. Additionally, he creates "organic paintings" that connect the canvases structurally to form vast scenes. This paradoxically challenges the viewers' simultaneous perception of images, contradicting his impossible desire to depict everything in the world.

Lee Sejun describes the area of accidental brushstrokes, colors, specific objects, and even margins, respectively. This approach goes beyond the traditional painting format that distinguishes the main subjects from the surrounding background and instead fills the entire canvas evenly. It emphasizes the inherent nature of the "flatness" in painting.

Lee Sejun is currently in the Ph.D. program after graduating from Hongik University's Department of Painting.

It has had a number of individual exhibitions, including Space Willing N Dealing and HwangGeumHyang in 2023, KSD Gallery in 2020, and Cake Gallery in 2016. He participated in various exhibitions such as Cian Art Museum, Shinhan Gallery, Zaha Museum in 2021, Euljiro OF, Osan Museum of Art in 2020, Danwon Art Museum, Beijing Commune in 2019, Art Space Boan in 2016, Hite Collection, and Seoul Museum of Art. Lee has been selected and exhibited at the Songeun Art Awards in 2023. Participating residences include Goyang Art Creation Space, Nanji Residency, Bukguart Studio, and Yangju Residency, and won the Gasong Art Award and the New York Art Show Grand Prize.

@leesejun_artworks

  • Instagram
px_정현두_23.06.05-06.20, Oil on linen, 53x40.9cm.jpg

<23.06.05-06.20> Oil on linen, 53x40.9cm

정현두 Jung Hyundoo

정현두(1987년생)는 회화는 캔버스 표면에 물감 바르기를 반복하며 색감과 이미지의 밀도를 높인다. 그는 즉흥적 움직임과 물감의 발림 상태, 농도 등에 따라 이미지에 직관적으로 반응하면서 이를 반복하여 쌓아간다. 사라진 형태에 남아있는 작가의 움직임의 흔적은 그림과 작가가 물아일체 된 역동적인 태도를 연상시키기도 한다. 이렇게 이미지를 지워 나간 캔버스 표면에는 또 다른 이미지가 만들어진 셈이다.

정현두는 작업 표면에 그려진 혹은 발려진 물감의 흔적은 그 자체로 조형 언어가 될 수도, 그가 보고 있는 대상 자체가 될 수도 있다고 말한다. 그가 머리 속에서 떠올리는 특정 단어가 시각 이미지로 현현되었을 때, 몸의 제스쳐가 더해지며 원하는 바로 그 대상을 선명하게 구현하는 과정이라 여긴다. 레이어가 형성된 화면은 색감의 밀도감을 더하면서도 채도를 유지하거나 혹은 무겁게 만들기도 하며, 동시에 표면으로부터 다른 종류의 공간을 향하듯 형성하기도 하면서 전체 화면을 온전한 추상과 감각의 결과물로서 드러난다.

 

정현두는 홍익대학교 회화과 학부 및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조형예술학 석사 졸업했다.

2019년 스페이스 윌링앤딜링, 2018년 위캔드, 2017년 공간형 등에서 개인전을 가졌으며 2024년 A-Lounge에서 개인전이 예정되어 있다. 2023년 신한갤러리, 2022년 아트스페이스3, 2021년 카다로그, 2020년 경기창작센터, 2016년 서울과기대학교미술관 등에서의 기획전에 참여하였다. 참여레지던시로는 경기창작센터 등이 있다.

Jung Hyundoo's (born in 1987) increases the density of colors and images by repeatedly applying paint to the canvas surface. He intuitively reacts to the image according to the impromptu movement, the state of application of the paint, and the concentration, and repeatedly accumulates it. When a specific word that he comes up with in his head is expressed as a visual image, he thinks it is a process of clearly realizing the very object he wants by adding gestures of the body. In other words, another image was created on the canvas surface where the image was erased.

He states that the traces of paint that are drawn or washed off on the working surface can become a visual language in themselves or even become the subjects he is observing. When a specific word that he conjures in his mind manifests as a visual image, the specific colors and forms manifested at the fingertips, enhanced by the gestures of his body, are said to vividly represent the exact subject that the artist intends to portray. The layered screen maintains saturation or makes it heavy while adding a sense of color density, and at the same time forms as if it were facing another type of space from the surface, revealing the entire screen as a result of complete abstraction and sensation.

Jung Hyundoo raduated from Hongik University's Department of Painting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s Master of Plastic Arts.

Jung Hyundoo has held individual exhibitions in Space Willing N Dealing in 2019, Weekend in 2018, and Space Hyeong in 2017, and is scheduled at A-Lounge in 2024. He participated in group exhibitions at Shinhan Gallery in 2023, Art Space 3 in 2022, Space Cadalogs in 2021, Gyeonggi Creation Center in 2020, and Museum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2016. Participating resident cities include the Gyeonggi Creation Center, and is selected.

@doo_odrip

  • Instagram
bottom of page